
손목이 시큰거리고 찌릿찌릿한 느낌이 드는 손목터널증후군. 컴퓨터를 이용해 대부분의 업무를 하는 직장인들에게는 고질병과 같다. 그렇다고 업무를 놓을 수도 없는 노릇. 손목터널증후군을 슬기롭게 다스리는 방법은 없을까?
손목터널증후군의 다른 말은 수근관증후군이다. 이는 사람의 손목 앞쪽에 위치한 ‘수근관’이라는 손목터널에서 유래한 것이다. 수근관은 뼈와 횡수근인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데, 손가락으로 연결되는 힘줄과 정중신경이 지나간다. 정중신경은 엄지, 검지, 중지, 약지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위의 감각을 제공하며, 엄지손가락 근육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수근관이 좁아지면, 이곳을 통과하는 정중신경이 눌려서 정중신경 지배 영역에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 의학적으로 정확한 원인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수근관을 덮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게 가장 흔한 원인이다. 손목 골절이나 염증, 부종, 관절염, 임신, 폐경, 갑상샘저하증, 당뇨 등 호르몬 및 대사질환도 손목터널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요즘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이 손목터널증후군을 호소한다. 직장인은 물론이고, 반복적인 손 움직임이 있는 주부, 스마트폰을 달고 사는 학생 등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엄지, 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에 저리고 타는 듯한 통증과 손 저림, 이상 감각이 느껴진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이 시작되었다는 증거다. 1~2분가량 손목을 굽히고 있을 때, 저림이 유발되기도 하고 손목을 두드릴 때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증상이 심할 때는 잠잘 때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또한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는 엄지 쪽의 감각이 떨어지는 경우를 겪게 된다. 손목과 손가락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손에 힘을 주거나 물건을 쥐는 게 어려워지는 것이다. 가끔 ‘손목이 부은 것 같다’라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대부분 통증에 의한 느낌일 뿐, 실제로 부어있는 경우는 드물다.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때는 이미 손목터널증후군이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이므로,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조금만 쉬면 괜찮아지겠지’, ‘파스 붙이면 조금 줄어들겠지’와 같은 생각으로 방치하면 손의 감각 저하와 힘 빠짐 증상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비교적 초기에 증상이 발현되었다면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체외 충격파 치료 등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심각해지면, 수근관을 넓혀주는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한다. 보통은 신경 손상 정도가 심할 때 진행하지만,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했음에도 상태가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될 때에 실시하기도 한다. 비수술적 치료보다 예후가 좋아 손목터널증후군 환자 중에서 선호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INFORMATION
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손목이나 손을 쭉 뻗는 것이 좋습니다. 팔을 굽히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키보드를 사용하세요.
따뜻한 물에 손을 담그고 손가락을 천천히 펴고 쥐는 동작을 반복해 보세요. 근육과 인대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엄지와 검지만을 사용하면 손목에 더 무리가 가는 법입니다. 물건을 들거나 열 때는 손 전체를 사용하세요.
손목 보호대를 사용해 손목의 부담을 줄이거나, 인체 공학적 키보드나 마우스 패드 같은 제품을 사용해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보세요. 생각보다 도움이 됩니다.
지난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