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을 16가지 유형으로 나눈 MBTI가 한때 대세였다면, 지금은 예민함을 특별한 기질로 바라보는 ‘HSP’가 새로운 자기 이해의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작은 소리에도 쉽게 놀라고, 다른 사람의 기분을 금방 알아차리는 편이라면 당신도 ‘HSP’일 가능성이 있다. 중요한 건, HSP는 ‘유독 예민한 병’이 아니라 타고난 성향일 뿐이라는 사실!
HSP는 Highly Sensitive Person의 약자로, 타인의 감정이나 상황을 쉽게 알아차리고,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성향이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미국 심리학자 일레인 아론(Elaine Aron) 박사가 1990년대 중반, 세상 자극에 유난히 강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을 연구했고, 전체 인구의 약 15~20%가 이러한 특성을 가진다고 발표했다.
흥미로운 점은 이 현상이 인간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다양한 동물에서도 유사한 민감성을 보이는 개체들이 발견되었다. 과학자들은 예민한 개체가 미묘한 환경 변화나 잠재적인 위험 신호를 감지하여 집단 전체의 생존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연구에 따르면 HSP는 뇌의 거울뉴런(mirror neuron) 활동이 일반인보다 활발하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표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상대가 긴장하면 자신도 같이 긴장하기 쉽다. 또 밝은 불빛이나 소음에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바쁜 사무실 환경, 붐비는 지하철, 압박이 느껴지는 회의나 발표자리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곤 한다. 민감하게 느끼는 만큼, 외부 자극에 쉽게 불안감을 느끼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시선에서 보면, 이 예민함은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고, 예술적 감수성이 뛰어나다. 음악 한 소절, 글 한 줄에도 남들보다 훨씬 큰 감동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예술가와 상담가가 HSP 성향을 지닌다고 한다.
예민함은 단점이 아니라 장점
작은 변화도 놓치지 않고, 섬세하게 보고 느끼는 건 특별한 능력이다. 누군가 “왜 이렇게 예민해?”라고 말하더라도 흔들리지 말자.
충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하루가 시끄럽고 복잡했다면, 반드시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다. 조용한 음악을 듣거나 명상을 하거나 따뜻한 차를 마시며 마음을 편안하게 해줘야 한다.
나 자신에게 다정하게
HSP는 스스로에게도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거나 타인의 시선에 쉽게 흔들릴 수 있다. 그럴 필요 없다. 스스로에게 말해주자. “괜찮아, 잘하고 있어”라고.
지난호 보기